인도네시아 야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네시아 야구 국가대표팀은 인도네시아를 대표하는 야구 국가대표팀이다. 1960년대 소프트볼 도입을 통해 야구가 시작되었으며, 1990년대부터 본격적인 야구 활동이 이루어졌다. 2007년 일본인 노나카 히사토를 감독으로 영입하여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2009년 아시아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는 2001년 디비전 1에서 6위, 2001년 디비전 2에서 1위를 기록했으며, 2018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는 여러 차례 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야구 국가대표팀 -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사무라이 재팬'은 일본을 대표하는 야구팀으로, WBC에서 세 차례 우승하고 올림픽에서 두 차례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야구 일본 대표 마케팅 위원회를 통해 체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 아시아의 야구 국가대표팀 - 중화 타이베이 야구 국가대표팀
중화 타이베이 야구 국가대표팀은 중화민국을 대표하여 '차이니스 타이베이' 명칭으로 국제 대회에 참가하며, 아시아 야구 선수권 4회 우승, 아시안 게임 금메달, 올림픽 은메달, 그리고 2024년 WBSC 프리미어 12 우승을 기록한 야구 국가대표팀이다. - 야구 국가대표팀 - 오스트레일리아 야구 국가대표팀
오스트레일리아 야구 국가대표팀은 1897년 창단되어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며 경험을 쌓았고,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은메달 획득 및 2023년 WBC 8강 진출 등의 성과를 거두며 국제 무대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는 호주의 국가대표 야구팀이다. - 야구 국가대표팀 -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사무라이 재팬'은 일본을 대표하는 야구팀으로, WBC에서 세 차례 우승하고 올림픽에서 두 차례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야구 일본 대표 마케팅 위원회를 통해 체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인도네시아 야구 국가대표팀 | |
---|---|
기본 정보 | |
국가 | 인도네시아 |
종목 | 야구 |
협회 | 인도네시아 야구 소프트볼 연맹(PERBASASI) |
연맹 | 아시아 야구 연맹 |
WBSC 순위 | 74위 (2023년 3월 28일) |
코칭 스태프 | |
감독 | 노나카 히사토 (일본인) |
대회 기록 | |
올림픽 출전 횟수 | 0회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출전 횟수 | 0회 |
아시안 게임 출전 횟수 | 1회 |
아시안 게임 첫 출전 | 2018년 |
아시안 게임 최고 성적 | 7위 (2018년 아시안 게임 야구) |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 | 4회 |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첫 출전 | 2001년 |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최고 성적 | 5위 (2015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
2. 역사
인도네시아 야구 국가대표팀의 역사는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1960년대 소프트볼 도입과 함께 시작된 초기, 1990년대부터 야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2000년대 초반까지의 성장기, 그리고 2007년 이후 외국인 감독 영입과 국제 대회에서의 성과를 거둔 시기이다.
초기에는 선수들 대부분이 클럽에서 활동하였다. 2003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예선 리그에서 탈락했고, 2004년 아시아컵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
2007년, 노나카 히사토가 일본인 최초로 대표팀 감독으로 취임하여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야구 금메달을 목표로 했다. 비록 필리핀에 패했지만 3위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9년 5월, 태국 방콕에서 열린 제8회 아시아컵에서 홍콩, 스리랑카를 꺾고 결승에서 파키스탄을 3-2로 꺾어 아시아컵 첫 우승과 함께 국제 대회 첫 타이틀을 얻었다.
2009년 7월에는 아시아 선수권 나리타 예선에 출전, 일본 등과 대결하여 아시아 랭킹 7위를 기록했다.
2011년 3월, 하라다 카츠미가 노나카 히사토의 후임 감독으로 취임했다. 2011년 11월, 자국 개최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 2위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4년 5월, 노나카 히사토가 감독으로 다시 취임, 2015년 5월 자국 자카르타 개최 제11회 동아시아컵 결승에 진출했으나 필리핀에 패해 준우승했다.
2015년 9월, 동아시아컵 우승국 필리핀의 아시아 선수권 대회 출전 포기로 타이완 타이중 개최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다.[1]
2. 1. 초기 역사 (1960년대 ~ 2000년대 초)
1960년대에 인도네시아에 소프트볼이 도입되었고, 야구는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국가대표팀 선수들 대부분은 클럽 활동으로 야구를 해온 선수들이다.대회 | 연도 | 결과 |
---|---|---|
아시아 야구 선수권 디비전 1 | 2001년 | 6위 |
2003년 | 6위 | |
아시아 야구 선수권 디비전 2 | 2001년 | 금 1위 |
2003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예선 리그에서 탈락했다. 2004년 아시아컵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1]
2. 2. 일본인 지도자 영입과 국제대회 성과 (2007년 ~ 현재)
2007년, 노나카 히사토가 외국인 최초로 인도네시아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취임했다. 발리 섬에서 클럽팀 "발리 레드삭스"와 발리 주 대표팀 감독을 맡고 있던 노나카 히사토는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야구 금메달 획득을 목표로 팀을 이끌었다. 비록 필리핀에 0-1로 패했지만, 3위를 기록하며 동메달을 획득했다.[1]2009년 5월, 태국 방콕에서 열린 제8회 아시아컵에서 홍콩과 스리랑카를 꺾고 결승에 진출, 파키스탄을 3-2로 꺾고 아시아컵 첫 우승을 달성했다. 이는 인도네시아 야구 국가대표팀의 국제 대회 첫 우승이었다.[1]
2009년 7월, 아시아 선수권 나리타 예선에 출전하여 일본 등과 대결하며 아시아 랭킹 7위를 기록했다.[1]
2011년 3월, 조세이 대학 경식 야구부 감독 출신 하라다 카츠미가 노나카 히사토의 후임으로 감독에 취임했다. 2011년 11월, 자국에서 개최된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 2위를 기록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1]
2014년 5월, 노나카 히사토가 감독으로 다시 취임했다. 2015년 5월, 자국 자카르타에서 개최된 제11회 동아시아컵 결승에 진출했으나, 필리핀에 0-10으로 패하며 준우승을 기록했다.[1]
2015년 9월, 동아시아컵 우승국인 필리핀이 아시아 선수권 대회 출전을 포기하면서, 타이완 타이중에서 개최된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5위를 기록했다.[1]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1]
2019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는 3위를 기록하며 동메달을 획득했다.[1]
3. 국제 대회 성적
인도네시아 야구 국가대표팀은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하여 다양한 성적을 거두었다. 2004년 아시아컵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1] 2009년 태국 방콕에서 개최된 제8회 아시아컵에서는 홍콩, 스리랑카를 꺾고 결승에서 파키스탄을 3-2로 꺾고 우승하며, 국제 대회 첫 타이틀을 획득했다.[1] 2014년 자카르타에서 개최된 제11회 동아시아컵에서는 결승에 진출했으나, 필리핀에 0-10으로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1]
3. 1.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2001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디비전 1에서 6위, 디비전 2에서 1위를 기록했다.[1] 2003년 대회에서는 6위,[1] 2009년 대회에서는 7위,[1] 2015년 대회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1]3. 2. 아시안 게임
2018년 10개 팀 중 7위를 기록했다.[1]3. 3.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